우분투 하드디스크 추가하고 자동 마운트 하기

[참조]: ReachLab.KR About

1. 우분투에 연결된 디스크 정보 확인

$ sudo fdisk -l

연결된 디스크는 /dev/sda, /dev/sdb 2개 이며 내가 테스트로 사용할 디스크는 /dev/sdb 이다.

2. 파티션 생성

$ sudo fdisk /dev/sdb

위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의 과정은 아래와 같이 command 입력의 문답 형태로 파티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을 누르면 다음의 설명의 내용도 확인 가능

Help:

  DOS (MBR)
   a   toggle a bootable flag
   b   edit nested BSD disklabel
   c   toggle the dos compatibility flag

  Generic
   d   delete a partition
   F   list free unpartitioned space
   l   list known partition types
   n   add a new partition
   p   print the partition table
   t   change a partition type
   v   verify the partition table
   i   print information about a partition

  Misc
   m   print this menu
   u   change display/entry units
   x   extra functionality (experts only)

  Script
   I   load disk layout from sfdisk script file
   O   dump disk layout to sfdisk script file

  Save & Exit
   w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q   quit without saving changes

  Create a new label
   g   create a new empty GPT partition table
   G   create a new empty SGI (IRIX) partition table
   o   create a new empty DOS partition table
   s   create a new empty Sun partition table

파티션을 만드는 기본적인 과정은 아래와 같이 진행.
새로운 파티션 생성을 위한 커맨드 n을 수행하면, 파티션의 타입, 시작 섹터 위치, 크기등의 정보를 입력형태로 받아 들이며 진행을 하게 된다.

파티션 정보를 만들었다면, 실제 디스크에 변경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w 커맨드를 입력.

파티션 생성 과정 종료 이후 다시 fdisk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 정보를 확인 해 보자.

$ sudo fdisk -l

처음 최초 확인과 달리 /dev/sdb1로 Disk 정보 뿐만 아니라 장치 정보가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3. 포맷

생성된 파티션 정보를 적절한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을 해야 이용이 가능하다.
나의 xubuntu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파일시스템을 지원하고 있었고, 현재 리눅스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ext4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을 수행 하였다.

$ sudo mkfs.ext4 /dev/sdb1

4. 마운트(fstab을 통해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uuid를 확인한다.

$ sudo blkid
(혹은)
$ ls -l /dev/disk/by-uuid

마운트 하려는 디스크의 uuid를 확인 한 후, fstab 열어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 sudo vi /etc/fstab

...
(fstab 파일의 가장 아래에 추가)
UUID=6254b89b-9dfd-4f53-b24e-bbdf5935ab12 [마운트할_위치_경로] ext4 defaults 0 0

위 내용을 저장 이후 재부팅을 하면 마운트할_위치_경로상에 해당 하드 디스크를 마운트하여 사용 할 수 있다.
fstab 내용의 4번째 이후에 필드에는 각각의 목적에 맞게 다른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나오K

,

Xubuntu 18.04, FTP 설치

1. FTP 설치

$ sudo apt install vsftpd

2. 기본 설정

vsftpd.conf 파일을 통해 설정한다.

$ sudo vi /etc/vsftpd.conf

먼저 아래의 내용들을 찾아 적절히 주석을 해제하거나 작성하자.

write_enable=YES
chroot_local_user=YES       # 홈 디렉토리보다 상위로 이동 금지

# chroot_local_user=YES 일 때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을 허용하지 않을 유저를 위한 옵션
chroot_list_enable=YES
choor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 홈 디렉토리 상위로 이동을 허용할 사용자의 리스트

# 기타 추가 내용
allow_writeable_chroot=YES

max_clients=15            # 최대 클라이언트
max_per_ip=10            # 동일 ip에서 최대 접속 가능한 수

utf8_filesystem=YES

기본적인 설정은 끝났다. 다만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다면 방화벽에 FTP 설정을 추가 해주거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서버라면 포트 포워딩 설정을 해 주자.

3. 기본 포트 21/20 변경하기

마찬가지로 vsftpd.conf 파일을 통해서 변경한다.

  • Active 모드에서의 변경
#--- inetd 모드가 아닌 독립 모드로 vsftp 실행
listen=YES
#--- FTP를 위한 Listen Port를 지정 한다.
listen_port=2021

#---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Active Mode를 사용도록 설정 한다.
#--- Active Mode에서 FTP 데이터 전송을 위한 디폴트 포트는 20 port 이다.
port_enable=YES
#---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Passive Mode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pasv_enable=NO

#---  20번 포트의 데이터전송 연결을 허용 한다.
connect_from_port_20=YES
#--- Active Mode에서 사용할 FTP-Data 포트를 강제로 2020 port로 변경 한다.
ftp_data_port=2020
  • Passive 모드 설정 및 변경
#--- inetd 모드가 아닌 독립 모드로 vsftp 실행
listen=YES
#--- FTP를 위한 Listen Port를 지정 한다.
listen_port=2021

#---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Passive Mode를 사용도록 설정 한다.
#--- Active Mode에서 FTP 데이터 전송을 위한 디폴트 포트는 20 port 이다.
port_enable=YES
#---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Passive Mode를 사용하도록 한다.
pasv_enable=YES

#---  20번 포트의 데이터전송 연결을 허용 한다.
connect_from_port_20=YES

#--- Passive Mode에서 사용할 FTP-Data 포트를 강제로
#--- 50031 port에서 50040 port까지 허용 한다.
pasv_min_port=50031
pasv_max_port=50040

기타 설정

  • FTP 계정 SSH 접속 제한

FTP 접속만을 허용하고 싶은 사용자가 있다. 하지만 FTP를 위한 계정을 생성하면 SSH도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보안을 위해 이 부분을 막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 sudo vi /etc/passwd

해당 사용자이름이 적혀진 줄로 이동하여 마지막 부분의 /bin/bash/bin/false로 변경한다.

4. FTP 연결

가장 간단하게 윈도우 탐색기에서 연결을 할 수도 있다.

윈도우 탐색기를 열어서 ftp 주소를 입력 후 엔터

다음과 같이 사용자 이름과 계정을 입력하는 창이 나오고,

올바르게 입력 했다면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위치로 접속이 된다.


사실 윈도우 기본 탐색기를 이용한 방법외에 보다 더 간단하고 다양한 옵션들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FileZilla 혹은 WinSCP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Linux > NAS with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mba 설치 및 설정  (0) 2018.05.21
포트포워딩 등록하기  (0) 2018.05.20
ipTIME 공유기 DDNS 도메인 연결과 WOL 설정  (0) 2018.05.20
Xbuntu로 NAS 구축하기  (0) 2018.05.20
블로그 이미지

나오K

,

우분투에서 스왑 파일 추가하여 스왑 영역 확보하기

  • Swap 영역을 생성하지 않고 리눅스를 설치 한 경우,
  • 가상 호스팅을 통해 제공받은 리눅스 OS상에 Swap 영역이 없는 경우.

각각의 상황에 대해, swap 파일을 생성하여 swap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 Swap 영역의 검사(swap 영역이 없는 경우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 sudo swapon -s
    
  • Swap 파일 생성

    $ sudo fallocate -l 2GB /swapfile        # swap 파일의 생성
    $ sudo chmod 600 /swapfile                # 권한 변경
    
  • 생성한 파일을 Swap 영역으로 변경

    $ sudo mkswap /swapfile
    
  • Swap을 사용하도록 설정

    $ sudo swapon /swapfile
    
  • 영구적 사용
    영구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vi로 /etc/fstab 을 수정하도록 하자.
    /etc/fstab에 Swap 파일에 대한 mount를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swapfile    none    swap    0    0
    


블로그 이미지

나오K

,